거래

From Team Fortress Wiki
< Trading
Revision as of 13:34, 7 March 2014 by Lf400212 (talk | contribs) (Sync)
Jump to: navigation, search


또 다른 만족하신 고객이군!
엔지니어
Steam trading.png

거래는 유저들간에 서로 아이템을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만코노미 업데이트 때 추가된 이 시스템은, 다른 플레이어와 무기모자, 기타 아이템, 그리고 도구들을 교환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밸브는 다른 게임에서도 서로에게 아이템을 거래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스팀 거래

스팀 거래 화면

스팀거래 는 2011년 8월 9일 오픈 베타로 도입 된 기능입니다. 스팀 트레이드 베타에 참가한 사람들은 친구창에서 스팀 유저들에게 이름를 붙이고 그룹을 조직할수 있었습니다.[1] 베타 업데이트는 스팀 거래기능과함께 2011년 9월 6일부터 스팀 클라이언트에 공식으로 추가됬습니다. 플레이어들은 게임아이템을 다른게임의 아이템이나 스팀 게임선물을 거래할 수 있게됬습니다. 거래 신청은 스팀 채팅이나 스팀친구목록 창에서 보낼 수 있습니다.

거래 영상

기능

  • 처음에는, 스팀 거래 창은 오직 8개만의 슬롯을 보여줄 것입니다. 마지막 줄의 3번째 슬롯이 차게되면, 더 많은 슬롯이 나타납니다. 이 기능은 256개의 아이템을 한번에 교환할 수 있게 하며, 연속적인 거래의 필요성을 제거햇습니다.
  • 더 빠르고 더 쉽게 거래할 수 있게, 검색 도구를 이용해 아이템을 찾을 수 있습니다. 게임내 거래 메뉴로, 채팅 박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아이템의 품질에 따라 색상으로 구분됩니다.
  • 한 번 거래가 이루어지면, 받은 아이템은 유저의 게임 내 백팩과 스팀 보관함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다른 게임에서의 아이템은 보관함을 클릭하고 메뉴에서 지원하는 게임의 보관함을 선택하면 됩니다. 현재 사용할 수 있는 게임 보관함은 포탈 2, 팀포트리스 2, Spiral Knights, Crimecraft: Gang Wars, Super MNC, 도타 2, 그리고 스팀 기프트입니다(게임을 샀지만 아직 상환되지 않을 때).
  • 2013년 9월 4일에 "거래 제안"이라는 새로운 기능이 생겨났습니다. 이 기능은 여러분의 친구에게 미리 준비된 거래를 보낼 수 있도록 해줍니다.

거래 방법

상대방과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메인 메뉴에서 캐릭터 설정 화면으로 들어가신 후, 거래하기 아이콘을 눌러주세요.

거래 신청은 유저의 친구리스트에 등록된 사람이나 현재 서버에 접속한 사람들 중 한명을 지정하여 보낼 수 있으며, 스팀 커뮤니티 URL을 사용하여서도 거래를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거래 신청은 상대방이 현재 팀포트리스2에 접속한 상태일 때만 보내질 수 있습니다. 상대방이 거래 신청을 수락하면, 화면에 아이템 교환창이 뜨게 됩니다. 만약 상대방이 거래 신청을 거절하거나 신청을 보낸 지 30초가 지나도 응답이 없으면, 거래는 취소가 됩니다.

먼저 거래창에는 8개에 칸이 있습니다, 8개의 창을 다 채우면 3번째 줄이 나타나며 게속 줄을 채울때마다 칸은 늘어날 것입니다. 거래하고 싶은 물건을 선택하려면 물건을 더블클릭 하거나 위쪽의 8칸짜리 거래화면으로 아이템을 드래그해서 올리면 됩니다. 아래의 8칸짜리 거래화면은 상대방이 제공하는 물품을 보여줍니다. 거래창은 아이템의 희소에 따라 색깔이 바뀌게 됩니다. 거래를 하면서 왼쪽아래의 채팅창을 통하여 유저끼리 대화를 하며 거래를 진행 할 수 있습니다.

선물 포장지를 이용하여 아이템을 "포장"하여 "조심스럽게 포장된 선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몇몇 아이템들은 원래 거래가 불가능한데, 선물 포장지를 이용하면 이러한 아이템들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포장을 할수 없는 아이템들도 있습니다). 포장된 선물은 현재 접속중이지 않은 유저에게도 전달될 수 있습니다. 선물 포장지는 현재 Mann Co. 상점에서 $1.99 / £0.99 / €1.99의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한화로 약 2,300원 수준).

서로 교환할 아이템들을 전부 지정하였으면, 두 유저는 "거래 준비 완료"버튼에 체크를 하여 거래를 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려야 합니다. 만약 도중에 거래할 아이템이 번경되었다면, 유저는 한번 더 "거래 준비 완료"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서로 거래를 할 준비가 되었다면, "당장 거래하기!"버든을 눌러서 거래를 완료 할 수 있습니다.

키보드의 'Shift + Tap(쉬프트 + 탭)'키를 눌러서 거래창을 잠시 나간 뒤, 진행하던 게임을 계속 할 수 있습니다. 특정한 게임 옵션을 지정해 주면 유저는 상대방의 거래 요청을 전부 거절 할 수도 있습니다.

무료 유저들은 듀얼 미니 게임과 같은 도구 아이템, 프리미엄 유저로부터 얻은 프라이팬엘리스의 모자 같은 홍보용 모자를 거래하는데에 몇가지 제한이 있습니다.

거래 제안을 필터링하려면 게임의 고급 설정에 들어가 보세요. 누구든지, 오직 친구만, 친구와 게임 안 플레이어아무도 같은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아이템 가치

주로 아이템의 가치는 희소성에 따라서나 아이템을 얻는데에 드는 비용이나 난이도와 같은 것에서 결정이 됩니다. 더 나아가자면, 아이템의 희소성은 아이템의 품질과 연관이 있습니다. 그래서 게임에서 제일 얻기 쉽고 조합이 가능한 일반 무기들은 게임 속의 모든 아이템을 통틀어서 제일 가격이 낮습니다. Mann Co. 보급상자도 역시 획득 확률이 높아 낮은 가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골동품 아이템들은 현재 얻을 수 없는데다가 높은 조합 가치를 가지고 있어 더 비싸게 취급을 받습니다. 이상한 아이템들은 오직 보급 상자에서만 얻을 수가 있어서 더 높은 가치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자에서 아이템이 나올 확률과 아이템이 나오는 상자의 희소성에 따라 가격은 크게 변동이 됩니다. 진품 아이템은 앞서 언급이 되었던 것들 보다 얻는 시간이 제한된 홍보용 아이템들로, 주로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귀신들린 아이템들도 할로윈 특집과 맵의 제한으로 인한 획득 확률 때문에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축제장식 무기들도 비슷한 기간 제한을 가지고 있지만, 제한된 기간 동안에만 특별한 겨울 특집 보급 상자에서 얻을 수 있으며 상자에서 나올 확률과 장식이 유별나기 때문에 더 높은 가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상한 품질의 축제 장식 무기들은 얻을 확률이 훨씬 적기 때문에 더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이템은 주로 추가적인 설명문("~에게 선물됨, 조합 숫자, 기타.)이 추가가 되어있을 때나 포장지를 필요로 하거나 거래 불가 아이템 처럼 분명한 거래 제한을 가지고 있을때 "더티"라고 불립니다. 더티 아이템들은 위에 해당되지 않는 클린 아이템보다 낮은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페인트 통이나 이상한 부품처럼 도구로 인해 추가된 속성을 가진 아이템들은 주로 거래할 때 총 가치에 추가가 된 도구의 가치를 더합니다.

화폐

금속은 주로 유저들에게 거래 화폐로 사용되며, 금속으로 계산된 아이템의 가격으로 거래가 됩니다. 아이템의 가격에는 주로 정제 금속이나 "ref"("정") 이라는 용어가 주어집니다 (예: 1.33정, 3정 등). 아이템의 가격은 주로 1폐기금속 (1폐) = 0.11정, 1재활용 금속 (1재) = 0.33정, 1정제 금속 = 1정 으로 표시가 됩니다. 폐기 금속이 2개의 무기를 조합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주로 일반 무기는 0.05정으로 동등하게 쓰입니다. 그러나, 플레이어들 사이에 거래를 이용해 이익을 만드려고 하여 하나의 일반 무기가 1폐기 금속으로 거래가 되는게 눈에 띄게 보입니다.

더 높은 가치를 가진 아이템을 거래할 때에는, 높은 단계의 "화폐"가 사용됩니다. 주로 Mann Co. 보급 상자 열쇠가 다음 등급의 화폐로 이용됩니다. 높은 열쇠와 금속 가치를 가진 빌의 모자가 다음 단계의 화폐로 가끔 이용이 됩니다. "버드"라고 불리는 이어버드는 제일 희귀하고 값어치 있으며, 팀포트리스2 화폐중에서 제일 높은 등급으로 여겨집니다. 높은 가격의 아이템들을 거래할 때 사거나 팔리는데 쓰입니다.

범상찮은 아이템

범상찮은 아이템들은 거래할 때에 넓은 범위로 제일 높고 비싼 품질로 여겨집니다. 보통 높은 가격대에서 제각각의 단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아이템들이 내뿜는 범상찮은 효과의 시각적인 매력과 상자에서 0.66%로 나오기 매우 어려운 확률을 가지고 있어, 기본 가격을 아주 높게 만들어버립니다. 그리고, 범상찮은 아이템의 효과와 모습으로 인해 가격 범위 내에서 가격차가 크게 납니다.

거래가 불가능한 아이템

  • 도전과제 지표 무기와 위의 아이템들을 제외한 게임 내의 아이템들은 모두 거래가 가능합니다. 만약 금속이 도전과제 무기를 사용하여 조합이 되었다면, 금속도 거래 불가가 되어버립니다. 거래 불가 아이템을 이용한 모든 조합물들도 역시 거래 불가가 됩니다. 그러나, 위의 아이템들은 주로 포장지가 사용이 가능하여 거래 불가 아이템을 기본적인 방법으로 거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줍니다.

구매된 아이템

  • 추가로, 스팀에서 게임을 예약 주문하여 얻은 진품 품질 아이템들은 주로 거래 불가이지만, 게임이 발매된 후에는 거래가 가능해집니다.
  • 스팀 커뮤니티 거래 장터에서 구입된 아이템들은 사용자의 보관함에 자동적으로 보관이 되며 일시적으로 거래가 가능하고 다시 장터에 내놓을 수 있습니다.

가격 안내

어느 면에서나, 아이템의 가치는 현재 거래 방식, 아이템의 참신함, 바람직함, 아이템에 적용된 외관 업데이트에 따라 항상 바뀝니다. 다음과 같은 사이트로 아이템의 가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에 실린 가격표는 고정되지 않았다는 점을 기억해두세요. 그저 유저들이 정해둔 가격을 표시해둔 것일 뿐입니다.

서드 파티 보관함 뷰어

스팀 외 웹사이트에서 사용자의 보관함을 볼 수 있게 해줍니다:

몇몇의 팀포트리스2 서버들은 대게 같은 서버에 있는 다른 플레이어의 보관함을 볼 수 있게 해주는 플러그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플러그인은 게임 속에서 위의 웹사이트들중 하나에 연결을 해줍니다.

거래 방식

거래의 다른 여러가지 방법들 입니다:

  • Scrap banking (스크랩 뱅킹) - 스크랭 뱅커가 금속으로 무기를 사는 행위입니다. 스크랩 뱅커들은 주로 2개의 무기를 1개의 폐기 금속으로 바꿔줍니다.
  • Reverse scrap banking (리버스 스크랩 뱅킹) - 스크랩 뱅커들에게 2개의 무기로 1개의 폐기금속을 얻는 행위입니다.
  • Weapon banking (웨폰 뱅킹) - 다른 플레이어에게 하나의 무기를 받고 다른 무기로 바꿔주는 행위입니다. 웨폰 뱅킹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무기를 얻을 때까지 계속 여러개의 무기를 반복하여 거래합니다.
  • Hat banking (햇 뱅킹) - 플레이어가 모자를 1정 1재(거의 모든 조합 장식 아이템의 기본 가격)이나 더 낮게 구입하는 행위입니다. 그리고 이익을 남기기 위해 다시 1정 1재에 되팔이 합니다.
  • 1:1 trading (1:1 거래) - 다른 플레이어와 각각 하나의 아이템을 교환하는 행위입니다.
  • Game trading (게임 거래) - 게임으로 아이템을 교환하거나 아이템으로 게임을 교환하는 행위입니다.
  • Cash trading (현금 거래) - 스팀 거래 외에 현금으로 아이템을 거래하는 행위입니다. 이러한 거래는 반드시 신용있는 미들맨과 해야 합니다. 밸브와 상관이 없으며, 위험이 많은 거래 방식이기 때문이죠.
  • Pure trading (퓨어 트레이딩) - 구입자가 아이템의 정가로 게임 화폐를 지불하는 행위입니다. 주로 이어버드, 정제 금속이나 열쇠가 사용됩니다.
  • Quicksell trading (퀵셀 거래) - 빨리 팔기 위해 아이템의 정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파는 행위입니다. 주로 범상찮은 품질의 아이템이 퀵셀 거래에 사용됩니다.

조심해야 할 것들:

  • Scamming (사기) - 계정을 도용하거나 사기를 쳐서 거래를 통해 다른 사람의 아이템을 훔쳐가는 행위입니다.
  • Sharking - 다른 플레이어(주로 처음 온 유저나 지식이 없는 유저)를 목표물로 잡아 아이템에 훨씬 값어치가 떨어지는 아이템을 제안하는 행위입니다.

거래 팁

(그 외: 커뮤니티 거래 팁)

Note: 거래중에는 다음과 같은 팁들을 꼭 머리에 새겨두도록 하세요.
When trading for a Strange or Unusual item, look out for the quality colors to avoid being scammed. Note that the Free to Play account cannot give any items in the trade.
  • To know how much metal is being asked for an item, keep in mind the specific values for each type of metal: 1 Scrap Metal is 0.11 refined (or simply ref), 1 Reclaimed Metal (or rec) is 0.33 ref and 1 Refined Metal is 1 ref. Adding these values by increments will give you the exact value of metal that a trader is asking for, and lets you know which and how many items of metal are being asked of you.
  • Check the person's Steam profile to see if the person is on trade probation by Valve, or has a reputation for being a scammer. Also use steamrep.com.
  • Use a trusted steamrep.com middleman when doing cash trades.
  • Pay attention to the quality of the items being offered.
  • Avoid trading for gifted or uncraftable items, as they are generally valued lower than non-gifted or craftable items.
  • Always review the items being traded before finishing the trade.
  • Trades should be conducted without any pressure; don't give into another player's pressure if they're urging you into a trade you do not want to be in.
  • If you feel that you are offering too much, ask a friend or another player. There are many "price guides" available online that estimate the value of items being traded (though these are often subjective).
  • Inventory items appear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arranged in your backpack. Be sure to preview items by hovering over them in the inventory or trading boxes to make sure you are adding the correct one(s).
  • Always respect the player you are trading with. Being polite, courteous and honest are very important aspects of trading, and are reflected on in real life trading too. Common courtesy is an important aspect.
  • Be aware of renamed items, as a scammer can rename a common item to appear as a rare item. For example, a Vintage Pyro's Beanie can be renamed to appear as an Unusual Pyro's Beanie. However, the hat will retain its blue lettering. The chat box will show notifications about renamed items to help avoid confusion.
  • Check if the items you receive in the trade are craftable. After the 2011년 10월 13일 패치, weapons bought from the store are uncraftable, but can be traded. The 2012년 11월 29일 패치 changed this such that cosmetic items bought from the store are craftable.
  • Make sure the items you are receiving are not duplicated, you can check this by viewing a players backpack on backpack. tf, and by checking the item history of the item.
  • If you are trading for a strange weapon, its current kill count will be reset to 0.
  • While trading, verify the trader's last alias (This user has also played as) at his profile. Scamming players often use many different aliases, so they can't be recognized after the trade.
  • Some trading communities have adopted a verify system that can be very useful to the traders. If your trading spot has it, be aware of it.

사기

거래가 점차 활성화되면서, 유저들의 아이템을 사기를 통해서 가로채는 일이 빈번히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거래를 하면서 다음 상황들은 피해주시거나 다시한번 생각해 주시기 바랍니다.

  • 게임 외부에서의 거래: 게임 아이템을 이용한 현금거래나, 스팀게임의 거래는 매우 위험하며, 스팀의 규정에도 위반되는 사항입니다.
  • 보급상자 열어주기: 몇몇 유저들은 보급상자를 열어준다고 해놓고 당신의 보급상자들을 가지고 도망갈 수도 있습니다. 이는 드문 경우입니다만, 거래를 승낙하는 것은 그 거래에 대해 자신도 동의한 것이므로 보급상자나 상자에서 나온 아이템을 돌려 받을수는 없습니다.
  • 추첨식 이벤트: 유저들에게 폐기 금속등 값싼 아이템을 참가비로 받고 이들중에 추첨을 통하여 모자 등 고가의 아이템을 준다는 이벤트를 벌이기도 합니다. 문제는 이러한 이벤트가 공정하게 이루어진다는 보장이 없을 뿐더러, 사기의 공범이 "추첨으로 뽑힌 우승자"일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이벤트를 주최한 유저가 단순히 아이템을 받은 후, 이벤트를 진행하지 않고 아이템만을 받고 도주할 가능성도 매우 큽니다.

.

거래시 알아두어야 할 단어들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아이템의 정상거래 가능 여부나 제작 시 사용가능 여부, 보급상자를 통한 획득 가능 여부 등 동종의 아이템이라도 이러한 변수로 아이템의 값어치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클린" 아이템 
아무런 제약 없이 정상적인 거래를 통하여 교환할 수 있는 아이템들을 의미합니다(선물 포장지 없이 바로 거래가 가능한 아이템). 이들 아이템들은 또한 제작에 사용가능하여야 합니다.
"더티" 아이템 
"클린"에 반대되는 아이템으로 Mann Co. 모자와 같이 정상적으로 거래가 불가능하고 제작에도 사용 불가능한 아이템입니다. 선물받은 아이템이나 Mann Co. 상점에서 구매한 아이템들도 거래가 불가능하며, 조합도 불가능합니다.
"보급상자 모자" 
Mann Co. 보급 상자 열쇠를 이용하여 Mann Co. 보급 상자를 열어서 얻은 일반모자들을 의미합니다(언유즈얼 모자는 제외). 모자 조합이나 아이템 드랍을 통하여 얻은 동종의 모자도 "보급상자 모자"로 취급합니다.
"추가 아이템(Sweeteners)" 
거래가 불균형을 이룰시, 서로간의 타협을 통해 거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추가되는 아이템입니다. 이러한 아이템은 주로 레벨이 다른 동종 아이템이나 모자의 거래시에 추가되기도 합니다(예: 레벨 100짜리 모자를 구매하기 위해 동종에 모자에 정제 금속 등 추가 아이템을 올림).
"조합모 또는 조합모자(Craft hat)" 
조합모자라 불리는 모자는 값싼 모자입니다. 쓸대가 없서서 좋은 모자가 나오길 바라며 2개를 조합하는 모자여서 '조합모'라 불리는거죠.

거래가 불가능한 아이템들

Mann Co. 상점외에 게임상의 아이템들을 현금을 통하여 거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몇몇 아이템들은 거래가 불가능합니다.

업데이트 내역

2010년 9월 30일 패치 (만-코노미 업데이트)
  • 거래 시스템을 추가하였습니다.

2010년 10월 6일 패치

  • The Trading dialog now starts with the chat window having focus.
  • Gifted items are now craftable and tradable.
  • Community, Self-Made, and Valve items are not tradable or usable in crafting.

2010년 10월 20일 패치

  • Added some anti-scam advice to the chat window.
  • Increased trading slots to 8 slots per person.
  • Added item rarity colors.
  • Added the item’s original name to the item description.

2011년 1월 19일 패치

  • Added a note in the trading dialog to let you know when your trading partner is typing.

2011년 2월 24일 패치 (Community Map Pack Update)

  • [언급되지 않음] Fixed trades only displaying one of the items traded to the server.

2011년 6월 14일 패치

  • Fixed Steam inventory/trading not showing the correct item level for some items.
  • Fixed Steam inventory/trading sort order not matching the in-game backpack.

2011년 10월 20일 패치

  • Fixed "Not Usable in Crafting" text not appearing under certain conditions on item tooltips in the trading UI.

2011년 11월 16일 패치

  • Fixed an exploit that allowed untradable items to be traded with Steam trading.

2011년 11월 23일 패치

  • [언급되지 않음] Fixed a Steam Trading bug that allowed items to be duplicated.

2011년 12월 15일 패치 (Australian Christmas 2011)

  • [언급되지 않음] Players with free accounts can now trade items that have been traded to them.

2012년 2월 14일 패치

  • Updated the in-game trading system to use the Steam trading menus.

2012년 9월 4일 패치

  • 사용자의 보관함이 꽉 찼을때의 스팀 거래 안내문을 추가하였습니다.

2013년 2월 22일 패치

  • 게임 안에서 거래 초대를 보낸 플레이어한테 스팀 가드 설정과 관련된 오류 메시지인 "이 플레이어가 다른 사람과 거래를 하는 중입니다"가 나타나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2014년 2월 23일 패치

  • 게임 안에서 거래 초대가 잘 되지 않던 점을 수정하였습니다.

버그

  • 플레이어가 거래 제안을 기다리는 도중에 서버에서 추방되면, 타이머가 10,000초로 표시됩니다.

안내

  • If you have been scammed, you can file a Steam support ticket and explain the situation. It helps to provide evidence of the scam, such as conversation logs or screenshots/videos of the scammed transaction.
  • There is a 30 second waiting period between unsuccessful trade requests.
  • If a player sends multiple trade requests to another player who declines them, there is a 2 minute waiting period between each trading request to prevent spamming.
  • As of December 12th, 2012, Steam Guard will be required for trading TF2 items, as well as other items that are tradable. Steam also requires for Steam Guard to be on for at least 15 days before trading.
  • When a user changes their account password, the user is then unable to trade for 5 days. This was implemented to prevent or discourage hijackers stealing others' accounts or items by forcing them to wait.

구형 거래 시스템

사진집

그 외

관련

외부 링크